OSI 계층에서 주소를 갖는 계층은 다음의 두 계층입니다.
IP 주소를 포함한 다른 프로토콜 스택의 3계층 주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IPv4 주소를 표기할 때는 4개의 옥텟(Octet)이라고 부르는 8비트 단위로 나누고 옥텟은 “.”으로 구분합니다.
MAC 주소가 16진수로 표기된 것과 달리 IP 주소는 10진수로 표기하므로 8비트 옥텟은 0~255의 값을 쓸 수 있습니다.
192.168.0.1
11000000 . 10101000 . 00000000 . 00000001
위는 10진수로 표현한 IPv4 주소이고 아래는 8비트로 표현한 것입니다.
IP 주소는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MAC 주소의 경우 24비트씩 절반으로 나뉘어 OUI, UAA를 의미하지만 IP 주소의 경우 두 부분을 구분하는 경계점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IP 주소 체계는 필요한 호스트 IP 개수에 따라 네트워크의 주소 크기를 다르게 할당할 수 있는 클래스의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나누는 구분자는 클래스(네트워크 크기)에 따라 변경된다.
A, B, C 클래슨느 맨 앞 옥텟 주소만 보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앞 옥텟의 주소가 0~127 범위인 IP 주소는 A 클래스 입니다.
앞 옥텟의 주소가 128~191 범위인 IP 주소는 B 클래스 입니다.
앞 옥텟의 주소가 192~223 범위인 IP 주소는 C 클래스 입니다.
IP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크기가 변경되므로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호스트 개수와 사용 가능한 유효 IP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래스로 구분되는 경우, 우리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10진수 형태로 표현되어 이해하는데 큰 무리가 없지만 클래스리스(Classless) 네트워크인 경우, 유효 IP 범위 파악이 매우 중요해 집니다.
IP 체계에서 맨 앞의 숫자를 네트워크 주소로, 맨 뒤의 숫자를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하므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IP는 A클래스의 경우 2^24 - 2, B 클래스의 경우 2^16 - 2, 2^8 - 2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를 통해 다른 고정된 네트워크 주소 체계에 비해 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클래스 기반의 네트워크 분할 기법은 과거에 사용했던 개념으로 현재는 클래스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분할하지 않습니다.
보다 네트워크 주소를 세밀하게 분할하고 할당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의 크기에 맞추어 1비트 단위로 네트워클르 상세히 분할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도서를 참조해 공부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Photographs by Chaelin, Unsplash.